개발공부/TIL
[국비지원] 2일차 수업 - display, position, margin
jnnjnn
2024. 2. 4. 01:36
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따라 만들수록 레이아웃을 단단하게 만들어놓고 작업하는 게 중요하다고 느껴졌다.
그래서 오늘은 레이아웃 정리!
display
- 블럭 요소 : 박스 형태를 가짐, 한줄에 하나씩 나옴 (div, p 등)
- 인라인 요소 : 컨텐츠를 담는 형태를 가짐, 한줄에 여러개씩 나옴 (span 등)
- 인라인-블럭 : 박스 형태, 한줄에 여러개씩 나옴
position
- static : 포지션 기본값, 포지션을 주어도 움직이지 않음. 기본 위치를 기억한다는 특징이 있음
- relative : 원래 자리에서 '상대적으로' 입력한 값만큼 움직임
- absolute : 가장 가까운 부모 기준으로 입력한 값만큼 움직임, 자기의 크기를 따로 가짐
relative를 부모로 가지고 부모가 모두 static이라면 body를 기준으로 함"
겹쳐지면서 아래의 요소를 가림 - fixed: 윈도우(전체 화면) 기준으로 입력한 값만큼 움직임, 자기의 크기를 따로 가짐
겹쳐지면서 아래의 요소를 가림 - sticky: 원래 있어야 하는 자리에 있으면서 스크롤링 되어도 움직이지 않음
margin
border의 밖에 있는 공간
기본적으로 html요소에는 태그에 따라 margin이 들어가 있다. (margin: 0px으로 제거 필요)
- margin-top(bottom,left,right) : 위 (아래,왼쪽,오른쪽)에서부터 입력한 값만큼 떨어뜨린다.
- margin : 위,아래, 왼쪽, 오른쪽 모두 입력한 값만큼 떨어뜨린다.
- margin auto : 전체 화면을 기준으로 자동 정렬
padding
요소와 border 사이에 있는 것
z-index
큰 숫자를 지정할수록 화면 앞으로 옴. position static에는 적용 불가능
animation
animation: 이름 시간 +
> @keyframes 이름{
0% 혹은 from {}
100% 혹은 to {}
}
animation-delay : 애니메이션 지연 시간을 설정
animation-fill-mode : 애니메이션이 끝난 후의 상태를 설정
animation : linear infinite : 애니메이션이 끝나지 않고 계속 재생됨
폰트 설정
@import url()로 폰트 주소 불러오기
font-family : 로 폰트 설정값 주기